본문으로 건너뛰기

ROI(투자수익률)란?

image

정의

ROI는 '내가 쓴 돈으로 얼마나 돌려받았는지'를 보여주는 숫자입니다. 영어로는 Return on Investment인데, 쉽게 말하면 장사가 잘됐는지 못됐는지를 알려주는 계산법이에요.

예를 들어볼게요. 친구가 치킨집을 하는데 전단지를 10만원 주고 동네에 뿌렸어요. 그 전단지를 보고 손님들이 와서 30만원어치 치킨을 샀다면? 10만원을 써서 30만원을 벌어들인 거죠. 실제로 남은 돈은 20만원이고, 이걸 처음 쓴 돈(10만원)으로 나누면 200%가 나옵니다. 이게 바로 ROI예요.

계산법은 정말 간단해요. (벌어들인 돈 - 쓴 돈) ÷ 쓴 돈 × 100 = ROI(%)입니다. 100%가 넘으면 돈을 번 거고, 0%면 본전, 마이너스면 손해본 거예요. 그래서 장사하는 분들은 항상 "이 광고 ROI가 얼마야?"라고 물어보는 겁니다. 돈을 쓸 가치가 있는지 없는지 한눈에 알 수 있거든요.

특징

  • 숫자로 딱 떨어집니다 - "대충 잘된 것 같아"가 아니라 "200% 수익났어"처럼 정확한 수치로 보여줘서 누구나 이해하기 쉬워요
  • 비교하기 쉽습니다 - 인스타그램 광고와 유튜브 광고 중 뭐가 나은지 ROI만 보면 바로 알 수 있어요
  • 결정하기 편합니다 - ROI가 낮은 광고는 그만하고, 높은 광고에 더 많은 돈을 쓰면 되니까 판단이 쉬워져요
  • 어디서나 쓸 수 있습니다 - 치킨집이든, 옷가게든, 온라인 쇼핑몰이든 모두 ROI를 계산할 수 있어요
  • 계속 바뀝니다 - 오늘의 ROI와 한 달 뒤의 ROI가 다를 수 있어서 계속 지켜봐야 해요

활용 방법

ROI를 제대로 활용하려면 먼저 정확한 기록이 필요해요. 동네 카페를 운영한다고 생각해볼까요?

1단계: 쓴 돈 적어두기 인스타그램 광고에 5만원을 썼다면, 이걸 어딘가에 적어두세요. 노트든 엑셀이든 상관없어요. "2024년 11월 23일, 인스타그램 광고비 5만원" 이렇게요.

2단계: 그 광고로 얼마 벌었는지 확인하기 이게 좀 어려운 부분이에요. 손님이 "인스타 보고 왔어요"라고 말해주면 좋은데, 대부분은 안 그래요. 그래서 쿠폰을 활용하면 좋습니다. "인스타 보고 오시면 아메리카노 500원 할인" 같은 쿠폰을 만들면, 이 쿠폰 쓴 손님이 몇 명인지 세면 되죠.

3단계: 계산하기 쿠폰 쓴 손님이 20명이고, 각자 평균 8,000원씩 썼다면 총 16만원의 매출이 생긴 거예요. 여기서 재료비 같은 원가를 빼야 하는데, 보통 카페는 원가가 30% 정도라고 하니까 순수익은 약 11만원 정도죠. 그럼 (11만원 - 5만원) ÷ 5만원 × 100 = 120% ROI입니다.

4단계: 결과 보고 행동하기 120% ROI면 괜찮은 편이에요. 5만원 써서 6만원 남은 거니까요. 이 정도면 다음 달에도 인스타그램 광고 하는 게 좋겠죠? 만약 ROI가 마이너스였다면, 광고 방법을 바꾸거나 아예 다른 방법을 시도해봐야 해요.

5단계: 꾸준히 점검하기 한 번 하고 끝이 아니에요. 매달 또는 매주 ROI를 계산해보세요. 계절에 따라, 요일에 따라 달라질 수 있거든요. 크리스마스 시즌에는 ROI가 높았는데 1월에는 낮아질 수도 있어요.

예시

예시 1: 동네 떡볶이 가게 철수씨는 학교 앞에서 떡볶이 가게를 해요. 학생들한테 전단지 2만원어치를 나눠줬어요. 그 주에 전단지 쿠폰 들고 온 학생이 50명이고, 평균 5,000원씩 먹었다면 총 25만원 매출이 생겼죠. 떡볶이 원가가 40%라고 하면 순이익은 15만원이에요. ROI는 (15만원 - 2만원) ÷ 2만원 × 100 = 650%입니다. 대박이죠! 다음에도 꼭 전단지를 돌려야겠어요.

예시 2: 온라인 쇼핑몰 영희씨는 핸드메이드 악세서리를 파는 온라인 쇼핑몰을 해요. 페이스북 광고에 10만원을 썼는데, 그 광고 보고 들어온 사람 중에서 15명이 물건을 샀고, 총 매출은 45만원이었어요. 재료비랑 배송비 빼니까 순이익이 20만원 정도 남았어요. ROI는 (20만원 - 10만원) ÷ 10만원 × 100 = 100%입니다. 본전보다는 낫지만, 더 개선할 여지가 있네요.

예시 3: 유튜버 민수는 게임 유튜버인데 영상 편집 외주에 30만원을 썼어요. 덕분에 영상 퀄리티가 올라가서 구독자가 늘었고, 그 달 광고 수익이 80만원 나왔어요. ROI는 (80만원 - 30만원) ÷ 30만원 × 100 = 약 167%입니다. 편집 외주를 주는 게 본인이 직접 하는 것보다 훨씬 이득이라는 걸 알 수 있죠.

예시 4: 헬스장 동네 헬스장에서 신문에 광고를 20만원 주고 실었어요. 그 광고 보고 15명이 3개월 회원권(1인당 15만원)을 끊었어요. 총 매출은 225만원인데, 트레이너 인건비랑 시설 유지비 빼면 순이익이 100만원 정도 남아요. ROI는 (100만원 - 20만원) ÷ 20만원 × 100 = 400%입니다. 신문 광고가 생각보다 효과 좋네요!

장단점

장점

  • 이해하기 쉽습니다 - "이만큼 투자해서 저만큼 벌었다"는 개념은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어요. 회계 전문가가 아니어도 돼요
  • 빠르게 결정할 수 있습니다 - ROI 높은 쪽에 돈을 더 쓰고, 낮은 쪽은 줄이거나 없애면 되니까 결정이 빨라요
  • 여기저기 다 쓸 수 있습니다 - 광고뿐만 아니라 직원 교육, 장비 구입, 매장 인테리어 등 돈이 드는 모든 곳에 사용할 수 있어요

단점

  • 당장 결과만 보기 쉽습니다 - 브랜드 인지도 같은 장기적인 효과는 ROI로 측정하기 어려워요. 예를 들어 좋은 포장지에 투자하면 당장 ROI는 낮아 보이지만, 나중에 단골이 늘어날 수 있거든요
  • 측정이 어려울 때가 많습니다 - 특히 오프라인 가게는 손님이 어디서 우리 가게를 알고 왔는지 추적하기 어려워요. 광고를 여러 곳에 동시에 하면 더 복잡해지죠
  • 숫자에만 집착할 수 있습니다 - ROI가 전부는 아니에요. ROI가 낮아도 고객 만족도가 높아진다면 장기적으로는 이득일 수 있어요

FAQ

Q: ROI가 몇 퍼센트면 좋은 건가요? A: 업종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00% 이상이면 본전은 뽑은 거예요. 200-300%면 꽤 좋은 편이고, 500% 넘어가면 아주 훌륭한 거예요. 하지만 제일 중요한 건 내 다른 광고나 경쟁업체와 비교하는 거예요. 내 인스타그램 광고가 150% ROI인데 페이스북이 300%라면, 페이스북에 집중하는 게 맞겠죠?

Q: ROI 계산할 때 내 시간도 넣어야 하나요? A: 상황에 따라 달라요. 만약 광고를 직접 만들고 운영하는 데 하루 종일 시간을 썼다면, 그 시간도 비용으로 봐야 정확해요. "내 하루 인건비가 10만원인데, 광고 만드는 데 이틀 걸렸으니 실제로는 광고비에 20만원을 더 더해야지"라고 생각하면 돼요. 하지만 간단한 비교를 위해서는 직접 나간 돈만 계산하기도 해요.

Q: ROI가 마이너스가 나왔어요. 완전 실패한 건가요? A: 꼭 그렇지는 않아요. 처음 하는 광고는 테스트 기간이라고 생각하면 돼요. 이번에는 손해를 봤지만, 어떤 메시지가 먹히지 않는지, 어떤 시간대가 안 좋은지 배웠잖아요? 그 경험을 바탕으로 다음번에는 더 잘할 수 있어요. 단, 계속 마이너스가 나온다면 전략을 완전히 바꿔야 해요.

Q: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같이 하는데, ROI를 어떻게 구분하나요? A: 각 채널마다 다른 쿠폰이나 추적 코드를 쓰면 돼요. 예를 들어 인스타그램 광고에는 "INS2024" 쿠폰을, 전단지에는 "PAPER2024" 쿠폰을 넣으세요. 그러면 어떤 쿠폰으로 매출이 생겼는지 보고 각각의 ROI를 계산할 수 있어요. 아니면 "인스타 보고 왔어요"라고 말하는 손님 수를 직접 세는 방법도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