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건너뛰기

GA4란?

image

정의

GA4(Google Analytics 4)는 구글이 제공하는 최신 버전의 웹 및 앱 분석 플랫폼입니다. 2020년 10월에 출시되었으며, 2023년 7월 1일부로 이전 버전인 유니버설 애널리틱스(Universal Analytics)를 완전히 대체했습니다. GA4는 단순히 업그레이드된 버전이 아니라 완전히 새로운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철학을 기반으로 재설계된 플랫폼입니다.

GA4의 가장 큰 특징은 이벤트 기반(Event-based) 데이터 모델을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유니버설 애널리틱스가 세션과 페이지뷰 중심이었다면, GA4는 사용자의 모든 상호작용을 이벤트로 추적합니다. 페이지 조회, 클릭, 스크롤, 동영상 재생 등 모든 행동이 이벤트로 기록되어 더욱 세밀한 분석이 가능합니다. 또한 웹사이트와 모바일 앱의 데이터를 하나의 속성(Property)에서 통합 분석할 수 있어, 크로스 플랫폼 사용자 여정을 이해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GA4는 머신러닝과 AI 기능이 대폭 강화되었습니다. 예측 지표(Predictive Metrics)를 통해 사용자의 미래 행동을 예측할 수 있으며, 자동화된 인사이트가 중요한 트렌드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알려줍니다. 또한 개인정보 보호를 중시하는 시대 흐름에 맞춰 쿠키 없는 측정과 데이터 수명 관리 기능도 제공합니다. 유럽의 GDPR, 미국의 CCPA 같은 개인정보 보호 규정을 준수하면서도 효과적인 분석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특징

  • 이벤트 기반 데이터 모델: 모든 사용자 상호작용을 이벤트로 추적하여 더 유연하고 세밀한 분석이 가능합니다. 페이지뷰, 클릭, 스크롤, 동영상 재생, 파일 다운로드 등 모든 것이 이벤트입니다.
  • 크로스 플랫폼 분석: 웹사이트와 iOS/Android 앱의 데이터를 하나의 속성에서 통합 분석할 수 있어, 사용자가 여러 디바이스를 오가는 여정을 완전히 추적할 수 있습니다.
  • AI 및 머신러닝: 구매 가능성, 이탈 가능성 같은 예측 지표를 제공하고, 자동화된 인사이트가 트래픽 급증, 이상 패턴 등을 자동으로 감지합니다.
  • 개인정보 보호 중심: 쿠키 없는 측정, IP 익명화, 데이터 보관 기간 설정 등 개인정보 보호 규정 준수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 BigQuery 무료 연동: 모든 GA4 속성에서 BigQuery로 원시 데이터를 무료로 내보낼 수 있어, 고급 분석과 데이터 웨어하우스 통합이 가능합니다. (유니버설 애널리틱스에서는 유료 버전에만 제공)

활용 방법

GA4를 효과적으로 설정하고 활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단계: GA4 속성 생성 Google Analytics 계정에 로그인한 후 새로운 GA4 속성을 생성합니다. 관리 메뉴에서 "속성 만들기"를 선택하고, 웹사이트 또는 앱 정보를 입력합니다. 비즈니스 카테고리와 규모를 선택하면 GA4가 자동으로 관련된 보고서와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2단계: 데이터 스트림 설정 웹사이트의 경우 웹 데이터 스트림을, 모바일 앱의 경우 iOS 또는 Android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합니다. 웹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면 측정 ID(G-XXXXXXXXXX 형식)가 발급되며, 이를 웹사이트의 모든 페이지에 삽입해야 합니다. Google Tag Manager를 사용하면 더 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 Global site tag (gtag.js) - Google Analytics -->
<script async src="https://www.googletagmanager.com/gtag/js?id=G-XXXXXXXXXX"></script>
<script>
window.dataLayer = window.dataLayer || [];
function gtag(){dataLayer.push(arguments);}
gtag('js', new Date());
gtag('config', 'G-XXXXXXXXXX');
</script>

3단계: 중요 이벤트 설정 GA4는 자동으로 수집되는 이벤트(페이지 조회, 스크롤 등) 외에도 비즈니스 목표에 중요한 이벤트를 수동으로 추적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구매 완료", "회원가입", "뉴스레터 신청", "문의하기 클릭" 같은 전환 이벤트를 설정합니다. 이러한 이벤트를 "전환"으로 표시하면 보고서에서 쉽게 추적할 수 있습니다.

4단계: 맞춤 측정기준 및 측정항목 생성 비즈니스에 필요한 특정 데이터를 추적하기 위해 맞춤 측정기준(Custom Dimensions)과 측정항목(Custom Metrics)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블로그의 경우 "글 카테고리", "작성자 이름", "읽기 시간" 같은 맞춤 측정기준을 만들어 더 세밀한 분석이 가능합니다.

5단계: 보고서 맞춤 설정 GA4의 기본 보고서는 유용하지만, 라이브러리에서 추가 보고서를 활성화하거나 탐색 분석(Explorations)을 사용하여 맞춤 보고서를 만들 수 있습니다. 경로 탐색, 유입경로 탐색, 세그먼트 중복 같은 고급 분석 템플릿이 제공됩니다.

6단계: 잠재고객 및 예측 지표 활용 GA4의 강력한 기능 중 하나는 머신러닝 기반 예측 지표입니다. "구매 가능성", "이탈 가능성", "예측 수익" 같은 지표를 사용하여 마케팅 캠페인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맞춤 잠재고객을 만들어 구글 광고와 연동하면 타겟팅 효율이 크게 향상됩니다.

7단계: Google 광고 및 Search Console 연동 GA4를 Google 광고 계정과 연동하면 광고 성과를 더 정확히 측정할 수 있습니다. Search Console과 연동하면 검색어 데이터를 GA4에서 볼 수 있어 SEO 분석에 도움이 됩니다. 연동은 관리 메뉴의 "제품 링크"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8단계: 정기적인 데이터 확인 및 인사이트 도출 GA4는 실시간 보고서, 사용자 보고서, 생애주기 보고서 등 다양한 관점에서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최소 주 1회 이상 주요 지표를 확인하고, 자동화된 인사이트를 검토하여 웹사이트 개선에 활용하세요. 특히 참여 지표(Engagement)와 전환 지표를 집중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시

예시 1: 기본 GA4 설치 코드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제로코크 블로그</title>

<!-- GA4 설치 코드 -->
<script async src="https://www.googletagmanager.com/gtag/js?id=G-ABC123XYZ"></script>
<script>
window.dataLayer = window.dataLayer || [];
function gtag(){dataLayer.push(arguments);}
gtag('js', new Date());

// 기본 설정
gtag('config', 'G-ABC123XYZ', {
'send_page_view': true,
'anonymize_ip': true // IP 익명화
});
</script>
</head>
<body>
<h1>블로그 글 제목</h1>
<p>콘텐츠...</p>
</body>
</html>

예시 2: 맞춤 이벤트 추적 (버튼 클릭)

<button onclick="trackNewsletterSignup()">뉴스레터 신청</button>

<script>
function trackNewsletterSignup() {
// GA4 이벤트 전송
gtag('event', 'newsletter_signup', {
'event_category': 'engagement',
'event_label': 'header_newsletter_form',
'value': 1
});

// 실제 뉴스레터 신청 로직
console.log('뉴스레터 신청 완료');
}
</script>

예시 3: 전자상거래 이벤트 추적

// 제품 조회 이벤트
gtag('event', 'view_item', {
currency: 'KRW',
value: 129000,
items: [
{
item_id: 'XYZ2000-BLK',
item_name: '무선 블루투스 이어폰 XYZ-2000',
item_category: '전자제품',
item_category2: '오디오',
item_brand: 'TechSound',
price: 129000,
quantity: 1
}
]
});

// 장바구니 추가 이벤트
gtag('event', 'add_to_cart', {
currency: 'KRW',
value: 129000,
items: [
{
item_id: 'XYZ2000-BLK',
item_name: '무선 블루투스 이어폰 XYZ-2000',
price: 129000,
quantity: 1
}
]
});

// 구매 완료 이벤트
gtag('event', 'purchase', {
transaction_id: 'T_12345',
currency: 'KRW',
value: 129000,
tax: 11727,
shipping: 3000,
items: [
{
item_id: 'XYZ2000-BLK',
item_name: '무선 블루투스 이어폰 XYZ-2000',
price: 129000,
quantity: 1
}
]
});

예시 4: 스크롤 깊이 추적

// 페이지의 특정 지점까지 스크롤했을 때 이벤트 전송
let scrollTracked = {
'25': false,
'50': false,
'75': false,
'100': false
};

window.addEventListener('scroll', function() {
let scrollPercentage = (window.scrollY + window.innerHeight) / document.body.scrollHeight * 100;

for (let threshold in scrollTracked) {
if (scrollPercentage >= threshold && !scrollTracked[threshold]) {
gtag('event', 'scroll_depth', {
'event_category': 'engagement',
'event_label': threshold + '%',
'value': parseInt(threshold)
});
scrollTracked[threshold] = true;
}
}
});

예시 5: 외부 링크 클릭 추적

// 모든 외부 링크 클릭 자동 추적
document.addEventListener('click', function(event) {
let target = event.target.closest('a');

if (target && target.hostname !== window.location.hostname) {
gtag('event', 'click', {
'event_category': 'outbound_link',
'event_label': target.href,
'transport_type': 'beacon'
});
}
});

예시 6: 파일 다운로드 추적

<a href="/downloads/seo-guide.pdf" onclick="trackDownload(this)">SEO 가이드 다운로드</a>

<script>
function trackDownload(element) {
let fileName = element.href.split('/').pop();

gtag('event', 'file_download', {
'event_category': 'downloads',
'event_label': fileName,
'file_extension': fileName.split('.').pop(),
'file_name': fileName
});
}
</script>

예시 7: 동영상 시청 추적

<video id="tutorial-video" controls>
<source src="tutorial.mp4" type="video/mp4">
</video>

<script>
let video = document.getElementById('tutorial-video');
let videoTracked = {
'start': false,
'25': false,
'50': false,
'75': false,
'complete': false
};

video.addEventListener('play', function() {
if (!videoTracked['start']) {
gtag('event', 'video_start', {
'event_category': 'video',
'event_label': 'tutorial-video',
'video_title': 'SEO Tutorial'
});
videoTracked['start'] = true;
}
});

video.addEventListener('timeupdate', function() {
let percentage = (video.currentTime / video.duration) * 100;

if (percentage >= 25 && !videoTracked['25']) {
gtag('event', 'video_progress', {
'event_category': 'video',
'event_label': 'tutorial-video',
'video_percent': 25
});
videoTracked['25'] = true;
}
// 50%, 75%도 동일하게...
});

video.addEventListener('ended', function() {
gtag('event', 'video_complete', {
'event_category': 'video',
'event_label': 'tutorial-video'
});
videoTracked['complete'] = true;
});
</script>

장단점

장점

  • 미래 지향적 분석: 이벤트 기반 모델과 AI 기능으로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에 더 적합합니다. 쿠키 제한과 개인정보 보호 강화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크로스 플랫폼 통합: 웹사이트와 모바일 앱의 데이터를 하나의 속성에서 분석하여 사용자의 전체 여정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모바일 앱에서 제품을 찾아보고 나중에 웹사이트에서 구매하는 패턴도 추적 가능합니다.

  • 예측 기능: 머신러닝 기반 예측 지표로 이탈 가능성이 높은 사용자나 구매 가능성이 높은 사용자를 미리 파악하여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마케팅 예산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단점

  • 높은 학습 곡선: 유니버설 애널리틱스와 완전히 다른 구조로, 기존 사용자도 새로 배워야 합니다. 이벤트 기반 모델, 새로운 보고서 구조, 다른 용어 등에 적응하는 데 시간이 걸립니다.

  • 제한적인 기록 데이터: 유니버설 애널리틱스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마이그레이션할 수 없습니다. GA4는 설치 시점부터 새로 데이터를 수집하므로, 과거 데이터와의 비교가 어렵습니다. 전환 보고서에서 역사적 트렌드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유니버설 애널리틱스 데이터를 별도로 보관해야 합니다.

  • 복잡한 설정: 유니버설 애널리틱스보다 초기 설정이 복잡합니다. 특히 전자상거래 추적, 맞춤 이벤트, 전환 설정 등은 기술적 지식이 필요하며, 제대로 설정하지 않으면 정확한 데이터를 얻기 어렵습니다. 많은 기업들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설정하고 있습니다.

FAQ

Q: 유니버설 애널리틱스와 GA4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나요? A: 네, 가능합니다. 하지만 유니버설 애널리틱스는 2023년 7월 1일에 데이터 수집이 완전히 중단되었으므로, 현재는 GA4만 사용해야 합니다. 2023년 7월 이전에는 두 속성을 동시에 운영하여 데이터를 비교하고 GA4에 익숙해지는 전환 기간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지금부터 시작한다면 GA4만 설치하면 됩니다.

Q: GA4의 이벤트와 유니버설 애널리틱스의 이벤트는 어떻게 다른가요? A: 유니버설 애널리틱스에서는 이벤트가 "카테고리, 액션, 라벨, 값"이라는 고정된 구조를 가졌습니다. GA4에서는 모든 상호작용이 이벤트이며, 각 이벤트에 원하는 매개변수(Parameters)를 자유롭게 추가할 수 있습니다. 훨씬 유연하지만, 일관된 명명 규칙과 데이터 구조를 미리 계획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페이지뷰도 GA4에서는 'page_view'라는 이벤트로 처리됩니다.

Q: GA4에서 이탈률(Bounce Rate)은 어떻게 계산되나요? A: GA4의 이탈률 정의가 유니버설 애널리틱스와 완전히 다릅니다. 유니버설 애널리틱스에서는 한 페이지만 보고 떠난 세션을 이탈로 정의했지만, GA4에서는 "참여 세션"이 아닌 세션의 비율을 이탈률로 정의합니다. 참여 세션은 10초 이상 지속되거나, 2개 이상의 페이지를 조회하거나, 전환 이벤트가 발생한 세션입니다. 따라서 GA4의 이탈률이 일반적으로 더 낮게 나타납니다.

Q: GA4 데이터는 얼마나 오래 보관되나요? A: 기본적으로 이벤트 데이터는 2개월 또는 14개월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무료 버전). 설정에서 보관 기간을 선택할 수 있으며, 한 번 설정하면 과거 데이터에는 소급 적용되지 않으므로 처음부터 14개월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집계된 보고서 데이터는 기간 제한 없이 보관됩니다. 원시 데이터를 장기 보관하고 싶다면 BigQuery로 내보내기를 설정하세요(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