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첨가물이란? 종류와 안전성, 피해야 할 첨가물

가공식품을 사면 뒷면 성분표에 이해할 수 없는 이름들이 가득합니다. **식품 첨가물(Food Additives)**은 도대체 무엇이고, 안전한 걸까요? 꼭 피해야 할 첨가물은 무엇일까요?
정의
식품 첨가물(Food Additives)은 식품의 맛, 외관, 보존성, 질감 등을 개선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첨가되는 물질입니다.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영양소가 아니며, 주로 식품 제조 과정에서 특정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정의
"식품을 제조·가공·조리 또는 보존하는 과정에서 감미, 착색, 표백 또는 산화 방지 등을 목적으로 식품에 사용되는 물질"
전 세계적으로 약 3,000-4,000가지의 식품 첨가물이 사용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식약처가 약 600여 가지를 허가하고 있습니다.
식품 첨가물을 사용하는 이유
1. 보존 (가장 중요)
부패 방지
- 세균, 곰팡이 성장 억제
- 산패 방지 (기름이 상하는 것)
- 유통기한 연장
예시
- 소르빈산 (빵, 치즈)
- 아질산나트륨 (햄, 소시지)
2. 맛 개선
감미료
- 설탕 대체 (칼로리 감소)
- 예: 아스파탐, 수크랄로스
향미증진제
- 감칠맛 강화
- 예: MSG (글루탐산나트륨)
3. 외관 개선
착색료
- 색 유지 또는 추가
- 예: 타르색소, 카라멜색소
표백제
- 밀가루 하얗게
- 예: 과산화벤조일
4. 질감 개선
유화제
- 기름과 물 섞기
- 예: 레시틴 (마요네즈)
증점제
- 걸쭉하게
- 예: 잔탄검, 구아검
5. 영양 강화
비타민, 미네랄 추가
- 예: 우유에 비타민 D, 시리얼에 철분
식품 첨가물의 종류
1. 보존료 (Preservatives)
역할: 미생물 성장 억제, 부패 방지
주요 성분
소르빈산 (Sorbic Acid) / 소르빈산칼륨
- 용도: 빵, 치즈, 와인, 말린 과일
- 안전성: 일반적으로 안전 (GRAS)
- 하루 섭취 허용량: 체중 1kg당 25mg
안식향산 (Benzoic Acid) / 안식향산나트륨
- 용도: 탄산음료, 절임류, 소스
- 주의: 비타민 C와 반응 시 벤젠 생성 가능 (발암물질)
- 일부 사람에게 알레르기
아질산나트륨 (Sodium Nitrite)
- 용도: 햄, 소시지, 베이컨 (분홍색 유지)
- 역할: 보툴리누스균 방지, 색 유지
- ⚠️ 논란: 고온에서 발암물질(니트로사민) 생성 가능
- 주의: 과다 섭취 피하기
프로피온산 (Propionic Acid)
- 용도: 빵, 베이커리
- 안전성: 일반적으로 안전
2. 착색료 (Colorants)
역할: 식품에 색 추가 또는 유지
천연 착색료 (상대적으로 안전)
- 카로틴 (노란색 - 당근)
- 안토시아닌 (빨간색/보라색 - 베리)
- 클로로필 (녹색 - 채소)
- 카라멜색소 (갈색 - 콜라)
합성 착색료 (타르색소)
- 적색 2호, 3호, 40호
- 황색 4호, 5호
- 청색 1호, 2호
⚠️ 논란:
- 어린이 과잉행동 유발 가능성 (영국 연구)
- 알레르기 반응
- EU에서는 경고 라벨 의무화
- 한국에서는 허용되지만 주의 권장
3. 감미료 (Sweeteners)
역할: 단맛 제공, 설탕 대체
인공 감미료
아스파탐 (Aspartame)
- 단맛: 설탕의 200배
- 용도: 다이어트 음료, 껌
- 칼로리: 거의 0
- ⚠️ 주의: 페닐케톤뇨증 환자 금지
- 논란: 안전성 논쟁 지속 (WHO는 안전하다고 판단)
수크랄로스 (Sucralose)
- 단맛: 설탕의 600배
- 용도: 제로 칼로리 음료
- 안전성: 상대적으로 안전
사카린 (Saccharin)
- 단맛: 설탕의 300배
- 과거 발암 논란 (현재는 안전으로 재평가)
아세설팜칼륨 (Acesulfame K)
- 단맛: 설탕의 200배
- 용도: 음료, 디저트
스테비아 (Stevia)
- 천연 감미료 (식물 유래)
- 안전성: 높음
- 추천: 인공 감미료보다 선호
당알코올
-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소르비톨
- 칼로리 낮음
- 부작용: 과다 섭취 시 설사
4. 향미증진제 (Flavor Enhancers)
MSG (글루탁산나트륨, Monosodium Glutamate)
- 역할: 감칠맛 (우마미)
- 용도: 스낵, 인스턴트 식품, 조미료
- 논란: "중국음식 증후군" (두통, 메스꺼움)
- 과학적 증거: 일반적으로 안전 (FDA)
- 하지만: 민감한 사람 있음, 과다 섭취 피하기
이노신산나트륨, 구아닐산나트륨
- MSG와 함께 사용
- 상승효과
5. 산화방지제 (Antioxidants)
역할: 기름의 산패 방지, 색 유지
천연 산화방지제 (안전)
- 비타민 C (아스코르브산)
- 비타민 E (토코페롤)
- 로즈마리 추출물
합성 산화방지제
- BHA (Butylated Hydroxyanisole)
- BHT (Butylated Hydroxytoluene)
- ⚠️ 논란: 고용량에서 발암 가능성 (동물 실험)
- 허용량 내에서는 안전하다고 평가
- 주의: 과다 섭취 피하기
6. 유화제 (Emulsifiers)
역할: 기름과 물을 섞이게 함
레시틴 (Lecithin)
- 천연 유화제 (대두, 계란)
- 안전성: 높음
- 용도: 초콜릿, 마요네즈
폴리소르베이트 (Polysorbate)
- 합성 유화제
- 용도: 아이스크림, 소스
모노글리세라이드, 디글리세라이드
- 용도: 빵, 케이크, 마가린
7. 증점제 및 안정제
천연 증점제 (안전)
- 잔탄검 (Xanthan Gum)
- 구아검 (Guar Gum)
- 카라기난 (Carrageenan) - ⚠️ 일부 논란
- 펙틴 (Pectin)
- 한천
용도: 잼, 젤리, 소스, 아이스크림
안전성 평가 기준
ADI (Acceptable Daily Intake, 1일 섭취 허용량)
정의: 평생 매일 먹어도 안전한 양 단위: mg/체중 kg
예시: 아스파탐
- ADI: 40mg/kg
- 70kg 성인: 2,800mg/일
- 다이어트 콜라 1캔 (180mg) → 15캔까지 안전
평가 과정
- 동물 실험으로 무해용량(NOAEL) 확인
- 안전계수 100으로 나눔
- ADI 설정
식품첨가물 허가 기준
한국 (식약처)
- JECFA (FAO/WHO 합동 전문가위원회) 기준 따름
- 필요성 입증
- 안전성 입증
- 정확한 분석법 존재
사용 기준
- 최소량만 사용
- 필요한 식품에만 사용
- 라벨 표시 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