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KR이란? (Objectives and Key Results) 목표 관리 프레임워크 완전 정리

구글, 링크드인, 트위터 등 실리콘밸리 기업들이 사용하는 목표 관리 방법인 OKR에 대해 알아볼까요?
OKR이란?
OKR(Objectives and Key Results)은 목표(Objectives)와 핵심 결과(Key Results)를 통해 조직과 개인의 목표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프레임워크입니다. 인텔에서 앤디 그로브(Andy Grove)가 개발했고, 존 도어(John Doerr)가 구글에 소개하면서 유명해졌습니다.
OKR은 **"우리가 어디로 가고 싶은가(Objective)"와 "어떻게 그곳에 도달했는지 알 수 있는가(Key Results)"**를 명확히 정의합니다.
OKR의 구조
Objective (목표)
- 정성적이고 영감을 주는 목표
- 무엇을 달성하고 싶은지를 설명
- 동기를 부여하고 기억하기 쉬워야 함
- 예: "고객이 가장 사랑하는 서비스가 되자"
Key Results (핵심 결과)
- 정량적이고 측정 가능한 결과
- 목표 달성 여부를 판단하는 지표
- 일반적으로 3-5개 정도
- 예: "NPS 점수 70점 달성", "월간 활성 사용자 100만명 달성"
OKR의 특징
- 투명성: 전 직원의 OKR을 공개하여 조직 전체가 같은 방향을 향합니다.
- 정렬(Alignment): 개인, 팀, 회사 OKR이 연결되어 일관성을 유지합니다.
- 도전적: 60-70% 달성해도 성공으로 간주하는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합니다.
- 주기적 검토: 분기별로 설정하고 주간/월간으로 진행 상황을 확인합니다.
- 분리: 성과 평가와 분리하여 도전적인 목표 설정을 장려합니다.
OKR 설정 방법
1단계: Objective 정의
좋은 Objective의 조건:
- 영감을 주고 동기부여가 되는가?
- 명확하고 이해하기 쉬운가?
- 행동을 유도하는가?
- 시한이 정해져 있는가? (보통 분기)
예시:
- ❌ 나쁜 예: "매출 증가"
- ✅ 좋은 예: "업계 최고의 고객 경험을 제공한다"
2단계: Key Results 정의
좋은 Key Results의 조건:
- 측정 가능한 수치가 있는가?
- 목표 달성을 명확히 보여주는가?
- 도전적이면서도 달성 가능한가?
- 3-5개 이내인가?
예시:
- ❌ 나쁜 예: "고객 만족도 향상"
- ✅ 좋은 예: "고객 만족도(CSAT) 4.5/5.0 달성"
3단계: 정렬 확인
- 회사 OKR → 팀 OKR → 개인 OKR이 연결되는가?
- 각 팀의 OKR이 서로 충돌하지 않는가?
- 우선순위가 명확한가?
4단계: 주기적 점검
- 주간: 진행 상황 간단히 확인
- 월간: 상세한 진행 상황 리뷰
- 분기말: 최종 점수 산정 및 회고